- 
          
          목차  “조금만 더!” 외치는 아이, 어떻게 해야 할까?“그만하자”는 말에 “잠깐만!”, “한 판만 더!” 약속한 게임 시간을 반복해서 넘기고 화까지 내는 8살 아이. 많은 부모가 경험하는 장면입니다. 이때 부모가 게임기를 뺏거나 혼내면 더 강한 저항이나 몰래 하는 습관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필요한 건 통제보다 협상, 금지보다 이해 기반의 조율입니다. 
 왜 아이는 약속을 지키지 못할까?1. 시간 개념과 조절력이 미성숙한 나이8살은 자기 조절력이 본격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입니다. 하고 싶은 욕구가 앞서고, 시간을 스스로 관리하는 건 아직 어렵습니다. 2. 게임은 ‘즉각적 보상’이 강한 콘텐츠게임은 재미와 성취가 즉각적이라 현실의 활동보다 더 쉽게 몰입하고 끊기 어려운 구조입니다. 3. 제재보다 대화가 부족한 경우무조건적인 “안 돼!”보다 아이의 입장을 듣고 함께 규칙을 정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 
 게임 시간을 지키게 만드는 협상의 기술✔ ‘규칙’을 정할 때 아이를 주체로 세우세요“몇 분이 좋을 것 같아?”, “끝내기 전에 어떤 알림이 필요할까?” 아이 스스로 정한 규칙은 지키고 싶은 마음을 만듭니다. ✔ 타이머와 알림을 활용하세요시간이 되면 알람이 울리게 설정해 “엄마가 아니라 약속이 끝내라고 하는 거야”라는 구조를 만들어 주세요. ✔ 지키면 칭찬, 어겼을 땐 함께 복기지켰을 때는 결과보다 약속을 지킨 태도를 칭찬하고, 어겼을 때는 “왜 어려웠을까?”, “다음엔 어떻게 하면 좋을까?” 스스로 원인을 생각하게 해야 합니다. 
 게임 시간을 둘러싼 갈등 줄이기 팁- 📌 게임 후엔 꼭 다른 활동(책읽기, 산책)으로 이어주기
- 📌 게임 전에 미리 알림(“5분 남았어”) 2~3회 주기
- 📌 게임 외에 아이가 좋아할 수 있는 놀이 찾기
 게임이 전부가 되지 않도록, 아이 삶의 즐거움을 다양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 
 하지 말아야 할 부모의 반응- ❌ “게임 끄라고 했지!” → 명령은 반발을 부릅니다
- ❌ “넌 왜 이것도 못 지켜?” → 자존감 저하
- ❌ “게임하면 바보 돼” → 공감 상실 + 반감 유발
 게임은 아이에게 일상의 즐거움이자 정체성이 될 수 있습니다. 비난보다 소통이 먼저입니다. 
 맺음말: 게임을 통해 조절력을 배우는 기회게임 시간 문제는 단순히 ‘시간 관리’가 아니라 감정 조절, 자기 판단, 책임감의 훈련 기회입니다. “그만해!”보다 “우리가 정한 약속이니까 지켜볼까?”라는 말이 아이의 행동을 바꾸는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. 협상은 통제보다 시간이 걸리지만, 아이 스스로 조절력을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입니다.